기록.

초보자를 위한 회계 기초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초보자를 위한 회계 기초

Youngheon 2016. 8. 17. 13:31

회계란?

회사의 돈벌이 능력(이익창출 능력)에 대한 합리적 판단을 위한 정보를 일정한 형식으로 정보이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과정


정보를 제공하는 방식 : 수학, 그래프, 그림 등, 


회계에서는 재무재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


재무재표 - 일정한 기준에 의해 작성된 문서


계정 : 회계적 거래를 구체적으로 기록, 계산 정리하는 단위 (비슷한 유형으로 그룹화하여 표준화)

계정 과목 : 계정에 계정의 특성에 맞는 이름을 붙인 것 (비슷한 유형에 특성을 맞춰 그룹화)


화폐가치로 환산하여 회계에서 나타냄


재무상태표

- 자산, 부채, 자본으로 이루어짐


재무상태표의 구성요소 - 재무제표는 일정시점의 재산상태를 나타낸다.

자산 :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현제 통제하고 있는 미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자원 (돈벌이 할 수 있는 것)

부체 :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현제 통제하고 있는 미래 경제적 이익을 창츨하는 자원을 희생할 의무 (갚아야 할것)

자본 : 자산 - 부채 : 잔여지분, 순자산 또는 소유자 지분 이라고도 함 (순수한 재산)


손익계산서의 구성요소 -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의 경영성과를 나타낸다.

연봉 -> 수익

차비, 식대 등 -> 비용

이익 -> 순이익


수익 : 자본거래를 제외한 순자산을 증가시키는 경제적 이익의 유입

비용 : 자본거래를 제외한 순자산을 감소시키는 경제적 이익의 유출


수익- 비용 = 순이익


1. 어떤 형식으로 전달하는가?

일정한 규정에 따라서 작성된 '재무제표'를 통해서 회계정보를 제공


재무제표

- (일정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) 재무상태표

- (일정기간의 경영성과를 나타내는) 손익계산서

- (자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) 자본변동표

- (현금에 대한정보를 제공하는) 현금흐름표

- 주석


돈벌이능력

- 회사가 일정기간 벌어들인것 -> 손익계산서

- 회사가 돈벌이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현황 - 재무상태표


정보이용자 및 합리적 의사결정 = 이해관계자 (경영자, 주주, 채권사, 세무서 노동조합)

주주 : 주식을 계속 보유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서

채권자 : 회사에 돈을 빌려줄 것인가 말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서


4. 회사의 유형과 정보 산출 기준 (법에 규정됨)

- 비상장 주식회사 - K-GAAP에 의해서 회계정보를 산출

- 상장된 주식회사 - K-IFRS에 의해서 회계정보를 산출



분개란 무엇인가?

분개 -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를 장부에 기입하는 방법

기입하는 방법

1. 회계적 거래를 두 측면으로 나누어 파악하고 장부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서 이 두 측면을 적절한 계정과목으로 장부의 왼쪽과 오른쪽 동시에 기입하는 방법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기입한 금액이 동일하게 기록되게 하는 방법

EX) 상품을 1000원에 팔고 현금을 받았다.

현금 1000/ 매출 1000

EX) 상품을 500원에 매입하고 현금을 지급했다.

매입 500 / 현금 500